책소개
경주의 영욕의 역사
경주는 천 년 동안 신라의 수도로서 최고의 전성기를 누렸다. 하지만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일개 지방 소도시로 전락한 채 명맥을 유지했다. ≪동경잡기≫에는 경주의 영욕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 때문에 ≪동경잡기≫의 자료 가치는 다양한 방면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각동(各同)·각방(各坊) 등을 통해 17세기 중반 경주 지역의 통치 구조와 수취 구조는 물론 향촌 사회의 운영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고, 인물 관련 항목에 소개된 인물들의 행적을 통해서는 과거 경주 지역의 인물사뿐 아니라 ≪동경잡기≫ 편찬 당시 사족(士族)들의 동향과 경주 부민의 동태를 엿볼 수 있다. 또한 고적(古蹟)·불우(佛宇)·궁실(宮室)·학교(學校)·능묘(陵墓) 등에는 17세기 중반까지 경주 지역에 있던 문화 유적의 현황과 위치가 생생하게 남아 있다. 현재는 없어진 여러 유물·유적에 대한 소중한 정보가 담겨 있으므로, 향후 경주의 시·공간적 역사 자취를 온전하게 복원하는 데 활용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가장 ≪동경잡기≫다운 발췌본
≪동경잡기≫의 특징이라 한다면, 다른 읍지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역사적인 항목, 진한기와 신라기에서 진한과 신라의 역사를 왕대별로 간단히 정리했다는 점, 경제나 정치·군사 관계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 인물 관련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분류는 물론 서술 내용 비중이 다른 읍지보다 훨씬 높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 책은 그러한 특징을 살려, 진한기와 신라기를 거의 완역하고, 인물 관련 항목을 중점적으로 발췌했다. 그리고 각주를 통해 ≪동경잡기≫가 참고한 원전과 사건 및 각종 용어에 대한 설명을 보충함으로써 독자들의 이해를 높이고자 했다.
이 책의 완역본은 지루한 구성, 어려운 단어, 방대한 분량 등 때문에 전문가가 아니라면 전체적으로 읽어내기가 쉽지 않다. 이 책은 그러한 점을 최대한 보완하여 일반 대중도 다가가기 쉽게 풀어내고자 노력했다. 책의 특징이 가장 잘 드러나는 부분을 발췌해 ≪동경잡기≫다운 면을 잃지 않으면서도 독자들이 가장 흥미를 가질 만한 인물 항목의 비중을 높였다.
200자평
수천 년의 경주 역사를 담고 있는 조선시대의 대표적 읍지다. 각 항목을 통해 각 시대의 경주 지역 통치 구조와 수취 구조, 사족과 부민의 동태, 여러 유물·유적까지 폭넓은 정보를 보여 준다. ≪동경잡기≫의 체제는 흐트러뜨리지 않으면서 가장 중요하고 재미있는 부분을 중점적으로 발췌해 일반 독자들이 접근하기 쉽게 만들었다.
지은이
민주면은 1629년(인조 7)에 수령(守令)을 지낸 아버지 민진량(閔晉亮)과 첨정(僉正)을 지낸 유대이(兪大?)의 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여흥(驪興)이고, 자는 장오(章五)며, 호는 수월당(水月堂)이다.
1648년(인조 26) 식년시(式年試)에 합격해 진사(進士)가 되었고, 1653년(효종 4) 알성 문과(謁聖文科)에 장원으로 급제했다.
1660년(현종 1) 인천부사(仁川府使: 종3품)로 임명된 후 그곳에 있는 자연도(紫燕島)의 국방 시설을 엄중히 감시했다. 1661년(현종 2)에는 경기 지방에 기근이 크게 들자 왕에게 상평청 곡식을 내어 고을 규모에 따라 차등 있게 지급해 줄 것을 요청하는 상소를 올려 성사하기도 했다.
이후 1665년 4월 길주목사(吉州牧使: 정3품)를 거쳐, 같은 해 5월 광주부윤(廣州府尹: 종2품)으로 부임하면서 지방관으로서 관직 경력을 보태어갔다. 1667∼1668년(현종 8∼9)에 서울로 잠시 돌아와 왕명 출납을 담당하는 승정원승지(承旨: 정3품)를 역임하기도 했지만, 1669년(현종 10) 다시 경주부윤(慶州府尹: 종2품)으로 임명되었다. 그가 ≪동경잡기≫를 편찬한 것도 바로 이러한 인연이 계기가 되었다.
경주부윤으로 재직하던 1670년 4월 휴가를 얻어 서울로 올라가게 되었다. 그러던 중 그가 부재한 가운데 같은 해 6월 18일 경주부에서 진상(眞祥)이란 여자가 남편을 살해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사건의 책임 소재를 놓고 한 달여 동안의 논란 끝에 7월 17일 민주면의 파직으로 귀결되었다. 그리고 그해 40여 세의 짧은 생애를 마감했다.
옮긴이
장창은은 국민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한 뒤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신라 상고기 고구려 관계와 정치세력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국민대와 한국방송통신대에서 우리 역사를 강의하고 있다. ‘지식은 다른 사람과 공유할 때 진정한 의미가 있다’는 소명의식을 가지고 강단에 섰고, ‘누군가의 등대가 될 수 있다면’ 하는 마음으로 외로운 학문의 길을 가고 있다. 저서로는 ≪주제별로 접근한 한국고대의 역사와 문화(공저)≫(국민대출판부, 2006), ≪신라 속의 사랑, 사랑 속의 신라?삼국시대편(공저)≫(경인문화사, 2006), ≪신라 속의 사랑, 사랑 속의 신라?통일신라편(공저)≫(경인문화사, 2008) 등이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신라 눌지왕대 고구려세력의 축출과 그 배경>(2004), <신라 소지왕대 대고구려 관계와 정치변동>(2005), <중원고구려비의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2006), <신라 상고기 대고구려 관계의 사적 의의>(2007) 등이 있다. 인터넷 다음(Daum)에 카페(장창은의 고조선과 고대사회, http://cafe.daum.net/onionjang)를 운영하고 있다.
차례
해설
엮은이에 대해
권1
진한기(辰韓紀)
신라기(新羅紀)
경주지계(慶州地界)
건치연혁(建置沿革)
풍속(風俗)
산천(山川)
승지(勝地)
토산(土産)
성곽(城郭)
관방(關防)
봉수(烽燧)
궁실(宮室)
창고(倉庫)
학교(學校)
역원(驛院)
사묘(祠廟)
능묘(陵墓)
기우소(祈雨所)
권2
불우(佛宇)
고적(古蹟)
호구(戶口)
전결(田結)
제언(堤堰)
각방(各坊)
각동(各同)
명환(名宦)
인물(人物)
권3
우거(寓居)
과목(科目)
음사(蔭仕)
효행(孝行)
우애(友愛)
충의(忠義)
정렬(貞烈)
기예(伎藝)
서적(書籍)
제영(題詠)
잡저보유(雜著補遺)
이문(異聞)
남지훈(南至熏) 후기(後記)
성원묵(成原黙) 후기(後記)
부록: 신라의 중앙 관등표
옮긴이에 대해
책속으로
伊昔赫居世 開邦五鳳年 相傳千歲久 粗保一隅偏
劫獻鷄林土 來朝鵠嶺天 綿綿三姓祀 永絶正堪憐
저 옛날 혁거세(赫居世)는
오봉(五鳳) [원]년에 나라를 열었네.
천년의 오랜 세월 서로 전하여
치우친 한구석 겨우 보전했네.
계림(鷄林)의 땅을 을러대어 바쳐서
곡령(鵠嶺)의 하늘에 내조(來朝)했네.
면면히 이어오던 삼성(三姓)의 제사가
영원토록 끊어지니 참으로 가련하구나.
-150쪽